
Polarization
편광이란?
편광이란?
click here
역광보정에 대해 국내 CCTV 시장 점유율 1위업체인 한화테크윈은 홈페이지에서 이렇게 기술하고 있습니다.
광역보정기술(WDR)이란 촬영하고자 하는 물체보다 주변의 배경이 밝아 물체가 어둡게 찍히는 상황이나 빛이 강해 그늘이 심하게 형성되고 화면의 밝기 차이가 심한 상황에서 영상 내 밝기 차이를 해결하여 우수한 이미지를 얻는 기술입니다.
광역보정기술(WDR)이 필요한 상황은 주로 아래와 같습니다.
• 낮 시간, 건물 안은 상대적으로 어둡고 밖은 밝은 경우
• 차량이 헤드라이트를 켜고 카메라를 향해 오고 있는 경우
즉 이 기술은 특정 상황에서 특정한 부분의 밝기 차이를 해소하는 기술에 대한 것입니다.
이와는 달리 사이테크놀로지스의 반사광자동제어기능(ACR : Automatic control of reflected light)은 CCTV 화면에 담기는 모든 사물의 반사광을 자동으로 사용자 설정 기준에 조절해주는 기술입니다.
즉 사용자가 어떤 특정한 이유로 인해 반사광을 최소화 또는 최대화 어느 것으로 설정을 해도 프로그램이 알아서 바꿔주는 것으로, 사용자 의도대로 정반대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입니다.
반사광자동제어기능은 모든 CCTV 촬영 상황에 적용 가능한 것입니다.
광역보정기술(WDR)이 부분적인 밝기 차이를 극복하기 위한 것이라면, 반사광자동제어기능(ACR)은 전체 화면에 사용자의 의도가 자동 적용되는 것이므로 큰 차이가 있습니다.
•기존의 편광 필터 수동교체방식, 모터를 이용한 편광판 기계적 제어방식에 비해 편광 필터의 설치와 유지 관리가 용이함.
•기계적 고장이 없는 확기적인 개념의 전기적 편광 조절기술을 사용함으로써 국내외 경쟁력 확보
•기존 CCTV 카메라보다 월등히 선명한 영상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
•해수면, 유리표면, 결빙/우천도로 및 터널, 자동차 및 시설물 등 난반사가 일어나는 다양한 피사체 감시에 탁월
•실외 환경뿐만 아니라 생산품 검사, 조립라인, 작업자 안전등 실내 환경에서의 난반사를 제거한 객체 인식 분야에서도 적용 가능
•기존의 CCTV 개조를 통한 기능 탑재가 가능하므로 이미 설치되어 운용되고 있는 CCTV 영상 감시 시스템을 재활용 할 수 있어 국가적인 예산 낭비를 방지.
•LCD 소자를 전기적으로 제어하여 편광 효과를 달성하는 방식이므로, 기존의 수동 필터교체 방식이나 기계적 필터 회전 방식에 비해 기계적 고장이 적고 설치 및 유지관리가 용이하므로 한번 설치한 이후에는 인력에 의한 유지 관리비용과 시간이 대폭 절감되는 효과가 있음.
•각 응용 분야별 영상 특성에 맞는 편광 조절 효과를 제공함으로써 분야별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함.
•스마트 시티의 지능형 영상 관제 시스템 구축에 적용 가능
•인공지능 학습용 빅데이터 구축, 영상 학습 데이터 구축에 활용 가능
•공공치안, 스마트 시티, 보안 관제, 자율주행 자동차, 드론, 로봇 등 연관 분야에서 사용 가능
•고속도로 등 빗길 및 빙판길 감지로 교통 관제 시스템에 응용함으로 블랙아이스 등의 사고 예방